본문 바로가기

병에따른치료/파킨슨병4

iPS세포유래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iPS세포유래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에 관한 의사주도 임상시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 시사교토대학교 의학부 부속병원은 교토대학교 iPS세포 연구소와 협력하여 'iPS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 전구세포(주1)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에 관한 의사 주도 임상시험'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 6월 4일, 독립행정법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 의사 주도 임상시험 계획을 제출했으며, 같은 해 8월 1일부터 임상시험을 시작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2025년 4월 17일자 네이처(Nature)지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파킨슨병 환자 7명을 대상으로 iPS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 전구세포를 뇌의 피각(주2)에 양측으로 이식했습니다. 주요 평가 항목은 안전성 및 유해 사례 발생 여부였으며, 부차 평가.. 2025. 8. 12.
파킨슨병 글루타치온 요법으로 증상 개선·완화 https://youtu.be/thmn7CfIkNw?si=BxR6xJUrEsSsoD5X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난치병 중 하나인 파킨슨병.신경 유전적인 요인이나 환경의 영향이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만, 자세한 것은 아직 해명되지 않았습니다. 파킨슨병은 뇌의 이상으로 인해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손상을 입어 손발 떨림이나 근육의 뻣뻣함, 보행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 약물요법과 재활치료 등이 있어 이러한 증상을 억제하고 환자가 가능한 한 쾌적한 생활을 하기 위한 지원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치료법은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하거나 질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등의 목적이어서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치료로 .. 2024. 10. 13.
파킨슨병 원인 증상 치료 뇌의 도파민이 감소하여 운동 지침이 전달되기 어려워지는 질병입니다.몸을 움직이려고 하면 뇌에서 근육으로 운동의 지령이 전달됩니다. 잘 움직이도록 운동의 조절을 전달하는 것이 도파민입니다. 파킨슨병은 이 도파민이 감소함으로써 운동의 지령이 잘 전달되지 않게 되고, 떨림 등 운동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입니다.도파민은 뇌 중간의 흑질에 있는 도파민 신경 세포로 만들어집니다. 파킨슨병 환자에서는 이 도파민 신경 세포가 감소하면서 도파민이 부족하게 됩니다.https://youtu.be/thmn7CfIkNw?si=BxR6xJUrEsSsoD5X손발 떨림 등 4가지의 특징적인 운동 증상이 있습니다. 주요 운동 증상은 그림에 나타난 4가지입니다. 증상은 몸의 좌우 중 하나로 시작되며, 진행하면 양쪽에서 볼 수 있게 됩니다.. 2024. 8. 20.
파킨슨병의 위험이 되는 LRRK2 유전자 변이 https://youtu.be/thmn7CfIkNw?si=BxR6xJUrEsSsoD5X 마이크로글리아는 신경세포에서 이상 시누클레인을 뽑아내고 대신 미토콘드리아를 공급하는미크로글리아가 응집된 아밀로이드 베타나 시누클레인을 청소해주는 것은 예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이 과정을 조절하는 것은 신경변성 질환의 한 열쇠가 될 것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미세먼지도 대식세포의 일종이기 때문에 세포 밖으로 배출된 이상 단백질을 탐식해서 제거한다고 생각했습니다. 파킨슨병(PD)인 시누클레인이나 알츠하이머병인 Tau의 경우 세포가 죽은 후의 청소부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논문소개그런데 오늘 소개하는 룩셈부르크 시스템생물의학연구소의 논문은 미크로글리아가 살아있는 신경세포에서 이상 시누클레인을 뽑아낼 뿐만.. 2024. 8. 11.